신영소식
HOME/신영소식/소식&공지
소식&공지
신영ESD의 다양한 소식과 공지사항을 전해드립니다.

소식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노력

2024.08.0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노력


지구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로 한파, 폭설, 홍수, 가뭄 등 이상기후가 더 자주, 더 강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역대급 폭우, 강력한 태풍, 장기간 장마·가뭄 등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탄소중립 선언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책 수립, 기술 개발 등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례 3가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

제1차 기후기술 기본계획은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관련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10년간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관련 부처의 연구개발(R&D) 정책 및 사업을 체계화하고, 추진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탄소중립, 에너지, 환경 관련 분야별 27개 법정계획과 주요 기술이행안의 기술 내용 분석, 부처협의 등을 통하여 타 계획 및 전략과의 정합성과 연계성을 확보하였고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현안해결 중심의 핵심기술 개발과 선제적인 기후변화 적응 연구개발을 통한 기후 위기 탄력성 확보라는 시대적 요구도 반영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제1차 기후기술 기본계획은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과 신시장 선점’이라는 비전 아래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생태계 조성 등 3대 전략, 15대 세부전략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후에는 연도별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 발표
<제1차 기후기술 기본계획의 주요 추진 전략>


전략1. 온실가스 감축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관련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및 분야별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감축 필수기술을 도출하고, 기술개발의 목표치 및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합니다. 각 부처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기술별 기술개발의 목표 달성을 통해 이산화탄소감축목표 및 전력발생원 구성비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전략2. 기후변화 적응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중립을 위한 연구개발 정책과 사업 외에도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의 내용과 범위를 최초로 체계화하여 기후변화가 발생한 시대에 적응력을 높이고자 기후재난 피해 저감과 회복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선제적으로 추진합니다. 기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자연·생태계, 인간, 자산·기반 등 대상별로 기후변화 감시·예측, 영향·위험도 평가, 피해저감 및 회복력 증진, 적응효과 진단 등 전 과정에 관한 기술개발을 추진합니다.


전략3. 기후변화대응 혁신생태계 조성

기후변화대응 기술과 인력, 그리고 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위해 기후산업 활성화 및 국민체감 성과확산, 인력양성, 국제협력, 정책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혁신생태계를 조성합니다. 특히, 기후기술 분야는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와 노력을 통해 동반상승효과가 발생 가능하기 때문에 정부(중앙부처-지자체), 기업, 국민, 해외(국제기구, 선진국 및 개도국 등)의 상호작용 및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추진합니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 발표
<3대 전략 및 15대 세부전략>



2. 한국형 지역수치 예보 모델(RDAPS-KIM)

기상청은 2022년 5월부터 새로운 수치예보모델인 ‘한국형지역수치예보모델(RDAPS-KIM :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Korean Integrated Model)’을 정식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형지역수치예보모델(RDAPS-KIM)은 관측지역을 기존보다 16배 더 세밀하게 나눠 날씨를 예보하는 예측시스템입니다.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국지적 위험기상 현상이 빈번히 나타나고 한반도의 기후 및 지리적·지형적 특성에 최적화된 기상예보의 제공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해외 수치모델 도입의 경우,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자체개발 모델보다 예보정확도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며 원천기술 없이는 도입모델의 성능을 넘을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를 통해 해외 수치예보모델 의존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수치예보 정확도 확보를 위해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2024. (카드뉴스)왜 한국형모델이 중요할까요?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주요특징>


한국형지역수치예보모델(RDAPS-KIM)은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집중호우, 태풍 이상 진로등 기존 모델로는 작은 규모의 지역에 대한 정확한 예측정보 생산에 한계가 있어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한반도 주변 기상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수치예보모델니다.

기존에 가로 세로 12km 사각형 구역에서 기상 정보를 관측하고 예보하던 것을 3km까지 줄여 더 세밀한 기상예측이 가능해졌으며, 작아지고 많아진 격자로 각 지역에 맞춤한 세밀한 예보를 가능케 합니다. 또한 기상청은 앞으로 다양한 기상정보 수용에 맞춰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 등 기후변화 대응 기상산업과 도심항공, 자율주행차 등 미래 산업 지원을 위해 9배 더 상세한 1km 수준의 고해상도 날씨 정보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2024. (카드뉴스)왜 한국형모델이 중요할까요?
<다양한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3.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개별농가(필지단위) 맞춤형 기상위험 정보를 생산하여 자원 농가와 지자체 농촌지도사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농장 수준의 정밀 기후에 기반하고 농가의 재배 환경에 맞춘 작목별 기상위험의 알림과 이에 대한 회피경감 방안을 적시에 제공하는 관리방법 등 개별 농가 단위의 기상위험 관리기술을 제공하고자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정보 서비스는 동네 단위 예보로 5km 범위의 지역 기상을 예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 농장의 규모와 지형조건에 적합한 국소적인 기상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 작목의 다양성과 가변적 기상변화를 반영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상청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의 세부 지형데이터를 입력해 30m 거리 단위의 변화를 반영한 농장별 농업기상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기상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 예측, 회피, 경감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단순 기상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농장별 지형에 따른 기상 특성, 재배 작목 생육 특성을 고려해 기상 재해 발생 위험을 예측, 피해를 줄이는 대응 방안 제공 등 농장 맞춤형으로 기상 재해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기온 등 기상정보 10종, 저온해 등 기상 위험 15종, 40개 작물에 대한 작물별 기상 재해 관리 정보 등의 내용을 제공하며, 기상 재해 발생 최소 2일 ~ 최대 9일 전까지 알림톡이나 문자로 받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개별 농장단위로 기상과 재해 예측정보를 문자·알림톡과 모바일 웹을 통해 사전에 통보하는 시스템과 해당 지자체가 관내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포형 사전 경보시스템(Web GIS 기반) 형식의 두 가지 서비스가 제공되며, 2025년까지 전국의 모든 농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23.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기술가이드(재개정판)


㈜신영이에스디는 꾸준한 연구와 격자기반 공간정보 공유서비스 기술개발 등 공간정보 관련 플랫폼·시스템·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특화된 전문성과 기술력을 키워왔습니다. 또한 환경·재해 관련 자문 및 사업 참여 등 관련 업력을 꾸준히 쌓아왔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념으로 성장해 온 기업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참고 및 출처 ]

기상청. 2023.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변화과학의 이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 발표.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2024. (카드뉴스)왜 한국형모델이 중요할까요?.

기상청 블로그. https://blog.naver.com/kma_131/222818509238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23.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기술가이드(재개정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https://www.agmet.kr/#

경상북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yeongbuk_official/223416280253

한국 농어민신문. 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121


[글/사진] 유태규 주임 / taegue042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