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격자기반 공간정보 공유서비스 기술개발] - part1 연구목표 설정
[격자기반 공간정보 공유서비스 기술개발] - part1 연구목표 설정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및 각종 스마트서비스의 확대로 인하여 위치기반 공간정보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행정구역 기반의 데이터로는 융·복합서비스 활용, 시계열 분석, 데이터 관리 등에서 다소 제한적인 요소가 많아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정보의 호환성 및 활용성, 관리 효율화의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이에 격자기반 공간정보 생성/관리/표출속도 측면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간정보를 국가지점번호 체계를 기준으로 단위격자 크기별 위치기반의 격자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변환하는 플랫폼 개발 기술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1) 위치정보 파악 용이
○ 기존 활용되는 행정구역 주소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나, 필지의 면적이 산 지형이나 지번이 없는 바다에서의 위치는 파악이 어렵습니다.
○ 본 연구에 적용된 ‘국가지점번호체계’의 경우는 최소 1m단위의 격자까지 표출되어 현 지번단위 주소로 확인이 어려운 지역의 위치까지 파악이 용이합니다.
지번단위 표출 | 격자단위 표출 |
![]() |
![]() |
(2) 데이터 분석 용이
○ 기 활용되는 행정구역단위 정보의 경우 기상·기후, 지형, 자연현상 및 도시의 동적 변화의 파악의 한계가 있으며, 공간 단위의 면적이 크고 불규칙해 융합적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 이에 반해 격자단위 데이터의 경우 국지적 특성 및 변화 파악이 용이하여 지역특성 파악·상권분석·도시활동 분석 등의 활용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격자단위 분석·통계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소지역 단위 분석에 유리함
· 통일된 공간 단위의 크기 및 형태로 데이터의 융합 및 비교/분석 용이
· 행정 경계에 구속받지 않는 시계열 분석 가능
· 개별 단위격자로의 모든 융·복합정보 제공이 가능
○ 현재 국내에서 공공/민간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과 활용 유형에 따라 격자체계로 시각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① 국토통계지도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국토통계지도는 인구, 건물, 토지, 국토지표조사 결과를 격자, 법정경계 등 다양한 공간단위 기준으로 통계 결과를 제공
② 스마트 서울맵 (https://map.seoul.go.kr/smgis2/citizenSay/smart)
- 서울시에서 운영 및 제공하는 스마트 서울맵에서 민원관리 부분에서 격자 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격자 위치별, 민원 분류별 건수 및 통계 결과를 제공
③ 소방안전빅데이터 플랫폼 (http://firedatacenter.kr/firecentermap/main)
- ‘화재경계지구 지정 기능 대상물 시각화’를 격자단위로 표현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색으로 구분하여 공장, 목구조, 산업단지, 시장, 위험물로 구분하여 표현
④ 어디야 (http://www.odiya.co.kr/)
-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며 전 세계의 모든 곳을 약 10m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 각각의 위치에 세 단어 이루어진 격자 주소를 부여하는 플랫폼
① 국토통계지도 | ② 스마트 서울맵 |
![]() |
![]() |
③ 소방안전빅데이터 플랫폼 | ④ 어디야 |
![]() |
![]() ![]() |
(1) 서비스 제공 측면
○ 기존 격자기반 서비스는 연구/분석가에 의해 격자화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구축한 후 격자기반 시각화 표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주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 이에 따라 위치정보 기반의 원시데이터를 업로드하여 본 플랫폼을 통해 격자데이터 자동 변환/생성 → 격자데이터 저장/관리 → 격자데이터 표출이 실시간 연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습니다.
(2) 플랫폼 기능 구현 측면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플랫폼 구현기능의 주요 특징을 배정 알고리즘, 데이터 입력/처리/관리 측면, 업무 활용 측면, 타 시스템 연계 측면에서 정리하였습니다.
구분 | 연구 플랫폼 주요 특징 | 비고 |
격자 배정 알고리즘 | - 데이터 유형별 9가지의 기본배정모듈 탑재(단일배정) - 사용자 임의 배정모듈 선택 조합 가능(복합, 사용자배정) |
추가 모듈 확장 고려 설계 |
데이터 입력/처리/관리 | - 대용량 데이터 생성/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구성 - 공간데이터(.shp) 외 통계데이터(.csv) 입력모듈 탑재 - 시계열 분석을 위한 데이터 코드화 및 이력관리 기능 탑재 |
- |
업무 활용 기능 | - 배정 알고리즘에 의한 격자기반 데이터 생성 기능 탑재 - 행정구역기반 데이터 생성 기능 탑재 - 사용자 임의경계기반 데이터 생성 기능 탑재 |
다양한 데이터 생성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 |
타 플랫폼 서비스 연계 | - 격자 크기별, 배정 방법별 API 전송 모듈 기반 설계/구현 - 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구현 가능 |
- |
[글/사진] 김재영 과장 / kjy0704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