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격자기반 공간정보 컨텐츠 플랫폼
격자기반 공간정보 컨텐츠 플랫폼
현재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및 스마트 서비스 확대로 위치기반 공간정보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다양한 디지털 정보와의 융·복합은 이를 가속화시킬 전망입니다. 또한 기존기술의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춰 다양한 종류의 통계를 미리 설정된 단위격자와 국가지점번호 체계를 기준으로 위치기반의 격자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분석의 기초 격자
- 분석의 기반이 될 격자체계는 국가지점번호체계를 기반으로 격자를 구성하였습니다.
국가지점번호는 국토공간을 격자로 분할시 각각의 격자가 가지고 있는 공간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번호체계로 10m격자까지 번호가 부여되어있습니다.
2) 격자화 데이터 생성
2-1) 격자화를 위한 원시데이터
- 격자에 활용할 원시데이터는 기초조사정보체계, 입지분석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 수집 및
구축하였으며, 데이터 형태별로 점, 선, 면 데이터로 구분지어 구축하였습니다.
2-2) 원시데이터의 격자화
- 본 연구에서 원시데이터의 격자화를 위한 방안을 ‘배정’이라 정하였으며, 그 방법으로는 9가지의 방법을 구상하였으며,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 중에 있습니다.
- 9개의 배정방법을 ‘단일배정’이라 칭하며 이 배정들을 조합하여 추가적으로 복합배정 및 사용자배정의 순서로 구현중입니다.
2-3) 원시데이터 및 배정방법 시스템 구현
- 구축된 점, 선, 면 형태의 원시데이터 및 ‘배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시스템에 업로드하여 관리 및 분석을 진행합니다.
- 본 연구과제의 대상지역은 제주도이며 제주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구축 및 시스템 업로드를 진행 중입니다. 다음은 현재 구현중인 시스템의 화면입니다.
[대상지역 격자표출]
[대상지역 원시데이터 표출]
[원시데이터 단일배정결과 표출]
[원시데이터 복합배정결과 표출]
3) 격자의 활용방안
현 격자연구과업의 활용방안으로는 입지분석 서비스(가용지 분석방안)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법·제도에 따른 개발가능지역 분석, 개발가용지 선별, 세부항목 평가를 통한 우선 후보지 검토관련 내용을 기존 원시데이터 및 격자화 된 데이터로 나타낼 계획이며 현재 구축 중에 있습니다.
기존행정구역 주소기반 데이터는 융·복합서비스 활용 측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격자단위 공간정보 구축을 통하여, 자료의 호환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것입니다.
[글/이미지]김재영 과장/kjy0704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