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지속가능한 ESG경영
지속가능한 ESG경영
눈에 띄게 늘어난 라벨 없는 페트병, 친환경 포장지. 최근 환경에 대한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모두 ESG경영의 일환인데요. 그렇다면 ESG경영이란 무엇일까요? 단어 형태와 내용의 어조로 보아 환경과 연관이 있는 무언가라는 점은 얼핏 짐작이 가지만 정확히 무엇인지 긴가민가하신 분들을 위해 ESG경영이 무엇인지 그 개념과 중요성, 국내외 기업들의 적용사례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SG경영이란
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 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세 가지 요소를 뜻하는 말입니다.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을 적용해 지속가능한 경영, 사회를 위한 기업 경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이윤만 추구하는 전통적인 기업 경영 방식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SG의 구성요소
환경적 요소(E)는 기업이 얼마나 친환경적인 경영을 하느냐를 의미하며 기후변화 영향, 사업장 환경오염물질 저감, 친환경 제품 개발과 같은 요소가 포함됩니다. 사회적 책임 경영(S)은 기업이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거나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가에 대한 지표로 인적 자원 관리, 산업안전, 하도급 거래, 제품/서비스의 안전성, 공정경쟁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배구조 개선(G)은 기업이 법을 준수하여 얼마큼 투명하게 운영하는가에 대한 지표를 뜻하며 주주 권리, 이사회 구성과 활동, 감사제도, 배당과 같은 요소가 이에 해당됩니다.
ESG의 배경과 글로벌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ESG의 개념은 20년 전부터 도입되었으나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환경 보호와 사회적 안전망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다시 한번 대두되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발생 원인으로 기후변화와 환경 파괴를 꼽고 있습니다.
※ 블랙록(BlackRock) 회장 래리 핑크(Larry Fink) CEO 연례서한 전문 링크
https://www.blackrock.com/kr/larry-fink-ceo-letter
또한 미국 최대 규모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의 회장 래리 핑크(Larry Fink)는 2020년 CEO 연례서한을 통해 앞으로 투자 결정 시 지속 가능성을 기준으로 삼겠다며 ESG 강화를 촉구하였고, 2021년 연례서한에서는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는 사업 계획을 촉구하였는데요. 이후 전 세계적으로 ESG에 대한 관심이 더욱 뜨거워졌습니다.
특히 환경보호와 인권 문제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MZ세대*는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MZ세대의 가치소비를 반영한 현상은 미닝아웃*, 돈쭐*이라는 신조어를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MZ세대가 가치소비와 사회적 가치를 중시함에 따라, MZ세대는 기업의 ESG 경영에도 큰 호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ESG를 고려한 지속가능 투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ESG 경영에 대한 MZ세대의 높은 관심은 ESG 경영의 지속성을 높이는 강력한 힘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MZ세대 :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출생한 '밀레니얼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아우르는 말
* 미닝아웃 : 신념을 뜻하는 '미닝(meaning)'과 '커밍아웃(Coming Out)'의 합성어. 사회적 신념을 소비 행위를 통해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의미
* 돈쭐: '돈' '혼쭐내다'의 합성어. 혼쭐내다는 매우 강하게 혼을 내어 꾸짖음을 묻는 것인 반면, 이에 대한 반어법과 그 변형으로 어떠한 사람이 사회적으로 옳은 행동을 했을 때 '이 사람은 돈으로 혼나야 한다' 라는 뜻으로 생긴 신조어
국내·외 기업 ESG 경영 적용 사례
아래의 자료는 기업의 다양한 ESG도입과 소비자의 요구 증대에 따른 ESG경영 활동 사례들입니다. 소비자와 접근성이 좋은 평가항목인 환경(E)과 관련한 사례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배구조(G)와 관련한 사례들은 국내에서는 아직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국내와 해외의 ESG사례의 다른 점은 어떤 것들인지 눈여겨 살펴보면 좋을 듯합니다.
[ 해외 ESG 경영 적용 사례 ]
[ 국내 ESG 경영 적용 사례 ]
ESG경영의 현재와 미래
ESG가 다루는 이슈는 매우 방대하여 일시적인 이슈가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응하고 관리해 나가야 하는 이슈들입니다. 대표적인 기후변화 대응만 하더라도 탄소 중립 목표 시점은 2050년입니다. 즉, 지금 각국 정부와 기업이 선언하는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2050년까지 이 이슈를 관리해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각국의 기업들은 ESG를 조급하게 보지 않아야 하고 ESG와 관련된 단기성과만을 기대해서도 안됩니다. 단기성과만을 기대한다면 ESG는 홍보와 사회공헌 수단에만 머물게 될 것이고, 금세 유행처럼 경영진 관심에서 멀어져 기업 역시 정상적인 대응을 못 하게 될 것입니다.
㈜ 신영ESD는 현재 ESG경영 트렌드에 앞장선 2009년, “미래세대에게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현재의 발전을 위해 인간-환경-정보가 어우러진 국토공간을 만들자”는 의미의 사명을 만들어 ‘공간 정보 기반 콘텐츠·서비스·컨설팅을 성장 동력으로 한 융복합 서비스 실현’을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근시안적 시안을 버리고 숲을 볼 줄 아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경제적 성장, 사회적 안정과 통합,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한 발전에 앞장서 노력할 것임을 약속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