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커뮤니티 맵핑'? 이제는 '참여형 지도 제작'!
'커뮤니티 맵핑'?
이제는 '참여형 지도 제작'!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2020.08.21부터 2020.08.23까지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커뮤니티 매핑'을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참여형 지도 제작'을 선정했다]
*새말모임 : 어려운 외국어 신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약국에서 번호표를 뽑거나 오랜 시간 줄을 서는 '마스크 대란'을 경험하신 적 있으실 텐데요.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시민들은 직접 발 벗고 나섰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약국에 있는 마스크 재고 현황을 지도 앱을 통해 직접 실시간으로 공유하였고, 이러한 주민 참여를 통해 더는 번호표를 뽑거나 줄을 서지 않아도 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참여형 지도 제작이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참여형 지도 제작'은 2000년대부터 인터넷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참여형 지도 제작'은 사회 구성원들이 특정한 주제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해 지도에 표시하거나, 기존 지도를 편집하는 등 지도를 함께 만드는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써 집단 지성에 기반을 두는 지역 구성원들이 함께 사회문제나 지역의 이슈, 안전, 도시 재생과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직접 현장에서 수집하고, 이를 지도를 통해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과정입니다.
참여형 지도 제작의 장점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정보와 이슈를 발견하고 지도를 통해 공유하는 '참여'를 시작으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지역 활성화 개선과 지역 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효율적으로 반영되어 도시 계획을 수립하고 정책을 결정함에 스스로 사는 지역의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웹 지도를 통한 참여형 지도 제작은 비용과 시간 절감의 효과가 크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태를 활용하여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요. 그뿐만 아니라 지역의 작은 커뮤니티부터 국가적 단위까지 확장이 쉬우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와 의견의 교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하는 데 매우 실용적이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참여형 지도 제작 국내 사례 ]
스마트서울맵
자세히 알아보기 : http://www.syesd.co.kr/homepage/syStoryContent?sy_story_seq=363
스마트 서울맵 바로가기 : https://map.seoul.go.kr/smgis2/
서울형 도시생활지도, 시민참여지도, 3D 서울지도, Open API 등 다양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양질의 공간정보 콘텐츠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참여·소통·공유·활용이 가능한 시민 참여형 공간정보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생활에 필요한 정보와 위치 기반 행정 정보를 가장 쉽게 전달받을 수 있는 디지털 지도이며,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PC와 스마트폰에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서울맵의 ‘시민참여지도’ 서비스는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하며, 테마를 생성하고, 해당 테마에 맞는 콘텐츠를 등록하여 직접 정보를 공유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주차장, 자전거 도로지도, 금연 지도, 인접 대형 서점, 안전한 골목길 등의 시민이 직접 참여한 다양한 지도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동타코야끼여지도
goo.gl/3oQmhD by 대동여타코야끼여지도 트위터 @takoyakimap
[ 참고 및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커뮤니티 매핑'은 ‘참여형 지도 제작’으로", 문화체육관광부, 2020.08.31,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8252
정수희, 이병민, "서울도시연구", 지역공동체의 실천적 집단지성의 발현으로서 커뮤니티매핑에 대한 소고, 제 15권 제 4호, 2014.12.31, pp. 185-204.
강신우 기자, "올겨울 히트 예감! '대동타코야끼여지도'를 아시나요", 서울경제, 2017.11.23, https://www.sedaily.com/NewsVIew/1ONOX2QTHU
김지수 기자, "대학과 지역사회는 하나의 공동체", 국민대학교 신문방송사, 2018.03.02, http://press.kookmi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2773
Ushahidi, 2021, https://www.ushahidi.com/
seojinne, "우샤히디: 크라우드 소스 위치정보 지도 = 놀라운 힘", 2012.10.25, https://www.vingle.net/posts/65253
최연진 기자, "한인 교수가 만든 주유소정보시스템에 미국인들 환호", 조선비즈, 2012.11.06,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1/06/201211060262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