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헷갈리기 쉬운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올해 9월은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이 있는 달로, 이제 곧 있으면 모두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추석 황금연휴가 시작됨. 요즘에는 대체휴일이나 개인휴가 등으로 연휴를 길게 사용하면서 추석보다는 연휴 자체에 집중하는 분들이 많은데, 연휴도 연휴지만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의 의미를 알고 일가친척과 함께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을 것임. 이에 (주)신영이에스디는 추석의 의미와 매번 명절 때마다 헷갈리기 쉬운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과 제사상의 차이점 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소개해보고자 함
추석(秋夕)은 음력 8월 15일로,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가을 저녁’, 나아가 ‘달 밝은 가을밤’이라는 의미로, 연중 8월 한가운데 달빛이 가장 좋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임. 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한’은 ‘크다’, ‘가위’는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서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임. 또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함.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 또는 중추가절이라 한 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것이라고 하니, 어쩌면 추석보다는 한가위가 더 딱 추석이란 날에 적합한 표현인 셈임
출처 : https://cafe.naver.com/gangilriverpark/7266
추석에는 온 가족이 모여 한 해의 수확을 축하하고 차례를 지내며 보름달에 소원을 비는데, 매년 명절마다 지내는 차례에 대해서는 생각보다 자세히 아는 분들이 없고 몇몇 집안의 어른들만 자세히 알고 어른들의 주도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매번 명절 때마다 헷갈리기 쉬움
차례상은 지역과 집안마다 내려져오는 풍습에 따라 조금씩 다르고, 허례허식을 빼고 많이 간소화하여 차리는 가정도 점점 많아지는 추세이기는 하나, 여전히 기본 상차림이라 알려진 방법으로 많이들 차리고 있기에 매번 헷갈려 고민이신 분들을 위해 보편적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과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봄
바라본 자세에서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임
차례상은 총 5열로, 병풍이나 신위에 가까운 쪽의 음식부터 1열이며 멀어질수록 열의 숫자가 커지며, 열마다 홀수로 놓음
1열)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첫 줄에 수저(시접), 술잔, 송편(설에는 떡국)을 놓는다.
2열) 서쪽에서부터 보통 3적으로 육적(고기류), 소적(두부, 채소류), 어적(생선류)의 순으로 놓는다.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위치한다.
* 동두서미 :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3열) 보통 육탕(육류),소탕(두부, 채소류),어탕(어패류) 등 세 종류의 탕을 놓거나, 그 중 하나만 놓기도 한다.
4열) 좌측부터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 순으로 놓는다.
* 좌포우혜 :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5열) 과일과 조과를 놓는다. 기본 4과라고 하는 대추, 밤, 배, 감(곶감)을 순서대로 놓고, 사과 등의 과일 옆으로는 약과나 한과와 같은 과자류를 놓는다.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 조율이시 : 좌측부터 조(대추), 율(밤), 이(배), 시(곶감)의 순서로 놓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 산자, 약과)를 놓는다. (조율시이도 가능)
추석 차례상 차릴 때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음
차례상과 제사상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아보면,
추가로 덧붙이자면, 차례는 그 단어 자체가 간단하게 음식을 준비하라는 뜻을 내포하는 것으로 상차림의 근거로 삼는 율곡 선생의 ‘격몽요결’에 나온 것은 제사상 차림이지 차례상이 아니라고 함. 또한, 제사상이 돌아가신 분 위주라면 차례상은 남은 가족들이 중심이므로, 차례는 돌아가신 분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 한두 가지를 올린 뒤 준비하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중심으로 올리면 된다고 함. 형식보다 정성이 중요하다는 의미일 듯함
다가오는 민족 대명절 추석! 올 추석에는 (주)신영이에스디가 소개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어렵고 번거로울 수 있는 차례상이지만, 정성과 진심 가득한 마음을 담아 헷갈리지 않게 잘 챙기시고 가족 그리고 친척들과 함께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길 바람
출처 : https://comwel2009.blog.me/221105474267
<참고>
추석 의미와 차례상 차리는 방법
https://comwel2009.blog.me/221105474267
올바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과 유의사항
http://kidshyundai.tistory.com/337
매번 헛갈리는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과 차례상vs 제사상 차이
https://blog.naver.com/creation7881/221203739791
“차례상 과시욕 버려야… 서너 가지면 족하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871734&memberNo=12475563